<departmental bulletin paper>
Te iku/kuru and e kata/ota combined with verbs that show directional movement :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person

Creator
Language
Publisher
Date
Source Title
Vol
First Page
Last Page
Publication Type
Access Rights
JaLC DOI
Abstract 본고는 이동의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와 결합해 있는「ていく/ くる」와「e kata/ota」구문 중에서 1 인칭의 이동을 대상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 사태파악 > 의 차이와 「ていく/ くる」와「e kata/ota」를 관련지어 고찰했다 .「てくる」は、실제로 이동이라는 동작이 일어나 이동의 도착점이라고 할 수 있는 곳에 화자가 있어도 도착점이 중요한 정보로 인식...되지 않는 한 문에 명시되지 않는다 . 반면 ,「 e ota」는 도 착점 ( 부근 ) 에서의 이동을 나타낸다.「ていく」는 이동의 과정이 문제되지 않는 문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 그러나 ,「e kata」는 이동의 출발점 ( 부근 ) 을 나타내고 있으며 , 이동의 과정은 포함되어 있어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도 사용가능하다.「ていく/ くる」와「e kata/ota」의 의미기능의 차이에 의해 일본어와 한국어의 텍스트에 있 어서의 시점의 결속성에는 큰 차이가 있다 . 기본적으로 일본어는「ていく」로 시점이 유지되기 때문에 도착점에 초점이 놓여져 있는「てくる」가 명시되면「 てくる」가 나타내는 초점을 찾기 위해 화자의 시점이 멈춰진다 . 때문에 도착점이 중요한 정보가 아닌 곳에「てくる」가 명시되면 시점의 결속성이 흐트러진다 . 이에 비해 한국어는 화자의 이동이 출발점 ( 부근 ) 일 경우에는「e kata」로 , 도착점 ( 부근 ) 일 경우에는「e ota」로 시점의 결속성을 유지한다.텍스트의 < 지금・여기 > 는 일본어에서는「ていく」로 나타내는 반면 , 한국어에서는 「e ota」로 나타나 일본어와 한국어에는 < 자기 중심적 > 인 스탠스 , 즉 , < 주관적 파악 >(池上2006 등)의 표현 방법에 큰 차이가 있다 .show more

Hide fulltext details.

pdf p145 pdf 1.56 MB 953  

Details

PISSN
NCID
Record ID
Peer-Reviewed
Spatial
Subject Terms
Type
Temporal
Created Date 2012.08.16
Modified Date 2023.11.01

People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